맨위로가기

로버트 롤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롤록은 1555년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나 1599년 사망한 스코틀랜드의 신학자이자 에든버러 대학교의 초대 총장이었다.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인문주의적 교과 과정을 도입하는 등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롤록은 또한 교회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세인트 자일스 대성당에서 설교를 시작했으며,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 의장으로도 활동했다. 그는 라뮈즘, 언약 신학 등 다양한 신학 사상을 펼쳤으며, 여러 저서를 통해 자신의 사상을 알렸다. 롤록은 에든버러 대학교의 기초를 닦은 인물로 평가받으며, 그의 신학 사상은 스코틀랜드뿐만 아니라 유럽 전역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약신학 - 데이비드 딕슨
    데이비드 딕슨은 스코틀랜드의 칼뱅주의 신학자이자 목사로, 글래스고 대학교 철학 교수, 어바인 목사, 글래스고 총회 서기, 글래스고 및 에든버러 대학교 신학 교수를 역임하며 스코틀랜드 교회에 큰 영향을 미쳤고, 퍼스 조항 반대 및 언약 운동 참여, 《신앙 고백에 대한 강의》, 《거룩한 치료》 등의 저술 활동을 펼쳤다.
  • 언약신학 - 광야로의 심부름
    광야로의 심부름은 17세기 뉴잉글랜드 청교도들이 영국 국교회의 탄압을 피해 북아메리카로 이주하여 가혹한 환경 속에서 신앙을 지키며 성경에 기반한 공동체를 건설하고 초기 미국 사회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고난과 신앙, 사회 건설 노력을 다룬다.
  • 스코틀랜드의 신학자 - 싱클레어 퍼거슨
    싱클레어 퍼거슨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개혁주의 신학자이자 목사로, 스코틀랜드와 미국 등지에서 목회와 신학 교수, 저술 활동을 했으며, 2022년에는 그를 기리는 헌정 논문집이 출판되었다.
  • 스코틀랜드의 신학자 - 로버트 할데인
    로버트 할데인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목사이자 사회 개혁가로, 복음주의 운동을 전개하고 국내 복음 전파 협회 설립, 신학 세미나 설립, 유럽 대륙 선교 여행 등의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사상은 한국 교회 성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 1599년 사망 - 권율
    조선 중기의 문관이자 무장인 권율은 안동 권씨 출신으로, 늦은 나이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료 생활을 시작, 임진왜란 때 행주대첩에서 승리하는 등 활약하여 도원수에 올랐으며 이몽학의 난을 진압하는 데에도 기여,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선무공신 1등에 녹훈된 인물이다.
  • 1599년 사망 - 베아트리체 첸치
    베아트리체 첸치는 아버지의 학대를 견디다 가족과 함께 아버지를 살해하고 처형된 16세기 로마의 귀족 여성이다.
로버트 롤록
기본 정보
유형교회의 목사
직함교장
교회스코틀랜드 교회
인물 정보
출생일기원전 1555년
출생지스코틀랜드, 포위스
사망일1599년 2월 8일 또는 9일
사망지스코틀랜드, 에든버러
교육
모교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에든버러 대학교

2. 생애

Robertus Rollocusla 로버트 롤록은 1583년 에든버러 대학교(당시 Tounis College)의 초대 총장 겸 섭정으로 임명되었다.[3][4] 제임스 로슨의 추천으로 임명되었으며, 급여는 40파운드 스코틀랜드였고, 시의회는 "그와 그의 하인 한 명의 일상적인 비용을 지원"하기로 합의했다.[4]

롤록은 4년제 석사 학위 과정을 가르쳤으며, 아리스토텔레스주의라뮈즘을 결합한 인문주의적 교과 과정을 도입했다.[1][2] 1586년, 시의회는 롤록을 대학의 초대 총장으로 임명했으며, 1587년 11월에는 신학 교수로 임명되어 의 급여를 받았다.[2]

1587년 9월부터는 서품을 받지 않았음에도 매주 일요일 아침 세인트 자일스 대성당에서 비공식적으로 설교하기 시작했다.[5] 1590년에는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 의장의 보좌관으로 임명되었고, 1591년에는 에든버러 노회 위원회에 임명되어 교회 문제에 대해 국왕과 협상했다.[5][1] 1597년 5월에는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데이비드 칼더우드는 롤록을 "경건한 사람이었지만, 교회 정부 문제에 있어서는 단순하고, 잘 믿으며, 조언에 쉽게 이끌렸다"고 평가했다.[5]

에든버러 성 자일스 대성당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롤록은 1555년 스털링 인근 포위스의 영주인 데이비드 롤록과 그의 아내 마리오타 리빙스턴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적어도 6명의 자녀 중 한 명이었으며, 허큘리스 롤록은 그의 형이었다. 그는 스털링 학교에서 조지 부캐넌의 조카인 토마스 부캐넌에게 조기 교육을 받았다.[1] 1574년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교의 세인트 살바토르 칼리지에 입학하여 1576년에 문학사 학위를, 1577년에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2] 졸업 후, 세인트 메리 칼리지(세인트 앤드루스에도 위치)에서 제임스 멜빌의 지도 아래 신학, 히브리어, 성서 문헌학을 공부하면서 세인트 살바토르 칼리지에서 가르치는 일을 병행했다. 이후 몇 년 동안, 롤록은 교사로서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심어준 경건함으로 전국적인 명성을 얻었다.[1] 1580년에는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교의 섭정이 되었다.[1]

2. 2. 에든버러 대학교

1583년 롤록은 에든버러 대학교(당시 Tounis College)의 초대 총장 겸 섭정으로 임명되었다.[3][4] 제임스 로슨의 추천으로 9월 14일에 임명되었으며, 급여는 40 파운드 스코틀랜드였고, 시의회는 "그와 그의 하인 한 명의 일상적인 비용을 지원"하기로 합의했다.[4] 등록금은 부르주아의 아들들에게는 40 실링, 다른 학생들은 3파운드 이상으로 정해졌으며, 수수료로 충분한 급여를 받지 못할 경우 롤록에게는 40 마르크를 넘지 않는 증액이 주어졌다.

롤록은 1583년 입학생들을 대상으로 4년 동안 석사 학위 과정을 가르치고, 모든 과목을 직접 가르칠 것으로 예상되었다.[1]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주의라뮈즘을 결합한 인문주의적 교과 과정을 도입했으며, 첫 해에는 라틴어그리스어 문법, 두 번째 해에는 고전 고대 작가와 산수, 3학년에는 히브리어, 윤리학, 논리학, 물리학, 4학년에서는 더 많은 논리학, 물리학, 지리학 및 신학을 가르쳤다.[2]

1585년 5월부터 1586년 2월까지 롤록은 흑사병 발병으로 인해 대학을 폐쇄해야 했다.[2] 1586년, 시의회는 롤록을 대학의 초대 총장으로 임명했으며, 1587년 11월, 시의회와 지역 장로회는 롤록이 신학을 가르치고 일요일에 설교하는 데 집중할 수 있도록 합의했으며, 그 결과 그는 400마르크의 급여를 받는 신학 교수로 임명되었다.[2] 롤록은 졸업 후 목사가 되기를 원하는 학생들에게 신학을 가르쳤으며, 자신을 교육자이자 학생들의 영적 지도자로 여겼다.[1]

2. 3. 말년과 교회 활동

1587년 9월부터 서품을 받지 않았음에도 매주 일요일 아침 세인트 자일스 대성당에서 비공식적으로 설교를 시작했다.[5] 1590년에는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 의장의 보좌관으로 임명되었고, 1591년에는 에든버러 노회 위원회에 임명되어 교회(kirk)의 문제에 대해 국왕과 협상했다.[5][1]

1595년에는 스코틀랜드 대학 방문 위원회에 지명되었다.[5] 1597년 5월 던디에서 열린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에서 국왕의 정책에 대한 그의 동정심으로 인해 왕당파의 지지를 받아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데이비드 칼더우드에 따르면, 롤록은 "경건한 사람이었지만, 교회 정부 문제에 있어서는 단순하고, 잘 믿으며, 조언에 쉽게 이끌렸다".[5] 이러한 성향으로 인해 그는 교회 문제에서 제임스 6세의 감독교회정치를 지지하게 되었지만, 칼더우드는 롤록이 "국왕과 그의 위원들의 변덕을 따르는 자신의 약점을 이해했다"고 덧붙였다.[5]

3. 사상과 신학

롤록은 라무스의 논리학과 분석 방법을 성경 읽기와 신학 연구에 적용했다.[1] 그는 에든버러 대학교의 초대 총장이자 신학 교수로서 학생들을 교육하고 영적으로 지도했다.[1][2]

롤록은 초기에는 에베소서 주석에서 주교직을 비난하는 등 주교제에 대해 비판적이었다.[6] 그러나 1595년, 특정 목사들이 주교로서 의회에 참여하여 투표하는 것을 허용해야 한다는 제안을 지지했다.[5]

데이비드 칼더우드는 롤록이 국왕과 그의 위원들의 변덕을 따르는 자신의 약점을 인지하고 있었다고 평가했다.[5] 롤록은 죽기 직전, 자신의 주요 목표가 교회와 국가 간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협력 관계를 추구하는 것이었다고 밝혔다.[7]

3. 1. 라뮈즘

롤록은 라무스의 논리학과 분석 방법을 성경 읽기와 신학 연구에 적용했다.[1] 그는 에든버러 대학교의 초대 총장이자 신학 교수로서, 학생들이 성경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도록 가르쳤으며,[1][2] 학생들을 교육하고 영적으로 지도하는 역할을 수행했다.[1]

3. 2. 주교제에 대한 입장 변화

롤록은 초기에는 에베소서 주석에서 주교직을 비난하는 등 주교제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6] 그러나 1595년, 그는 특정 목사들이 주교로서 의회에 참여하여 투표하는 것을 허용해야 한다는 제안을 지지했다. 그는 "의회에 앉는 사람들에게는 영주권을 거부할 수 없으며, 그들의 존엄성을 유지하기 위한 수입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

이러한 입장 변화에 대해 데이비드 칼더우드는 롤록이 "단순하고, 잘 믿으며, 조언에 쉽게 이끌렸다"고 평가했다.[5] 칼더우드는 롤록이 국왕과 그의 위원들의 변덕을 따르는 자신의 약점을 인지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5]

롤록은 죽기 직전, 자신의 주요 목표가 교회와 국가가 "상호 지원하고, [...] 불필요한 전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다고 밝혔다.[7] 이는 그가 제임스 6세의 감독교회정치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선회한 이유를 보여준다. 즉, 교회와 국가 간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협력 관계를 추구하고자 했던 것이다.

4. 저서

롤록은 학생들에게 성경을 읽을 때 라무스주의 논리와 분석을 적용하도록 권장했으며, 출판된 저서에서도 동일한 방식을 사용했다. 롤록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제목출판년도출판 장소
Commentarius in Epistolam ad Ephesiosla (에베소서 주석)1590에든버러
1593제네바
Commentarius in Librum Danielis Prophetæla (다니엘서 주석)1591에든버러
1594세인트앤드루스
Analysis Epistolæ ad Romanosla (로마서 분석)1594에든버러
Quæstiones et Responsiones aliquot de Fœdere Dei et de Sacramentisla (하나님의 언약과 성례에 관한 몇 가지 질문과 답변)1596에든버러
Tractatus de Efficaci Vocationela (효과적인 부르심에 관한 논문)1597에든버러
Commentarius in utramque Epistolam ad Thessalonicenses, et Analysis in Epistolam ad Philemonem, cum Notis Joan. Piscatorisla (데살로니가전후서 주석 및 빌레몬서 분석)1598에든버러
1601헤센나사우의 헤르본
데살로니가전서와 데살로니가후서에 대한 강의1606에든버러
Certaine Sermons upon several places of the Epistles of Paulla (바울 서신의 여러 구절에 대한 설교)1599에든버러
Commentarius in Joannis Evangelium, una cum Harmonia ex iv Evangelistis in Mortem, Resurrectionem, et Ascensionem Deila (요한복음 주석)1599제네바, 에든버러
Commentarius in selectos aliquot Psalmosla (선택된 시편 주석)1598, 1599제네바
다윗의 시편 중 일부 해설1600에든버러
Commentarius in Epistolas ad Corinthiosla (고린도전후서 주석)1600헤센나사우의 헤르본
Commentarius in Epistolam ad Colossensesla (골로새서 주석)1600에든버러
1602제네바
Analysis Logica in Epistolam ad Galatasla (갈라디아서 논리 분석)1602에든버러
1603제네바
Tractatus brevis de Providentia Dei, et Tractatus de Excommunicationela (하나님의 섭리에 관한 짧은 논문, 출교에 관한 논문)1602제네바
1604런던
A Treatise of Gods Effectual Calling영어1603런던
Commentarius in Epistolam ad Hebræosla (히브리서 주석)1605에든버러
Lectures upon the History of the Passion영어 (수난사에 대한 강의)1616에든버러
Episcopal Government instituted by Christ, and confirmed by Scripture and Reason영어 (그리스도에 의해 제정되고 성경과 이성으로 확증된 감독교회정치)1641런던



그가 사망한 직후 그의 학생들이 필기한 메모를 바탕으로 11편의 설교가 출판되었다 (Certaine Sermons upon Several Places of the Epistles of Paulla, 1599). 윌리엄 건 D.D.가 편집하고, 차터리스가 라틴어로 쓴 생애와 주석을 담은 Selected Works of Rollockla이 우드로 협회에서 1844–49년에 인쇄되었다.

5. 유산

롤록은 에든버러 대학교의 기초를 닦은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뛰어난 학식'을 갖춘 학자로 여겨졌으며, 대학교 초창기에 교수와 총장으로서의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했다.[1]

그는 수많은 신학 저서를 저술했는데, 대부분이 성경 주석 또는 해설이었다. 그는 성경 주석으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으며, 그의 저서 40편 이상이 에든버러, 제네바, 하이델베르크, 헤르본에서 인쇄되었다.[1] 특히 에베소서와 로마서에 대한 그의 저술은 찬사를 받았으며, 제네바 신학자 테오도르 베자는 "이러한 종류의 해석에서 간결함과 건전한 판단력이 결합된 우아함을 능가하는 것은 읽어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2] 1596/97년에 출판된 두 저서를 통해 롤록은 영국에서 언약 신학의 초기 옹호자 중 한 명이었을 수 있다.[1] 그의 신학 사상은 스코틀랜드뿐만 아니라 유럽 전역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언약 신학은 한국 장로교 신학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롤록의 제자였던 헨리 차터리스는 그의 뒤를 이어 에든버러 대학교 총장이 되었다.[1]

롤록의 삶과 업적은 에든버러 대학교 올드 칼리지 남쪽의 현판에 기념되어 있다.[8]

참조

[1] 웹사이트 Robert Rollock (1555–1599) – Our History http://ourhistory.is[...] University of Edinburgh 2021-08-15
[2] 웹사이트 Rollock, Robert (1555–1599) https://www.oxforddn[...]
[3] 웹사이트 Charter by King James VI http://ourhistory.is[...] The University of Edinburgh 2021-08-11
[4] 서적 The Story of the University of Edinburgh During Its First Three Hundred Years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 Co. 1884
[5] 서적 The Historie of the Kirk of Scotland
[6] 서적 The history of the Kirk of Scotland, from the year 1558 to August 1637 Wodrow Society
[7] 서적 Selected works of Robert Rollock Wodrow Society
[8] 웹사이트 Robert Rollock https://www.ed.ac.uk[...] 2021-08-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